Loading...

공감로

법으로 가는 쉽고 빠른 길

회사법

판례 | 주주권 확인의 소의 적법성에 관한 사례 2016다2403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출처url https://casenote.kr/대법원/2016다240338
출처 노혁준, “2019년 회사법 중요판례평석”,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488호 (2020년): 125–44.
  • 피고회사(주식회사 테바건설)의 주주명부상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의 소유자로 기재되어 있었는데, 소외인이 위조한 주식매매계약서로 인해 타인 앞으로 명의개서가 되었으므로 원고가 여전히 주식의 소유자라는 점을 이유로 하여 이 사건 주식 발행인인 피고회사를 상대로 주주권 확인의 소를 제기한 사안
  • 주주권 확인의 소의 적법성에 관한 사례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6다240338 판결 [주주권확인] [공2019하,1219]

판시사항

[1] 주주명부상 주주가 아닌 제3자가 주식을 인수하고 그 대금을 납입한 경우, 제3자를 실질상 주주로 볼 것인지 판단하는 방법

[2] 이행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데도 확인의 소를 제기한 경우,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소극) 및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는 법원이 직권으로 판단할 사항인지 여부(적극)

[3] 주식을 취득한 자가 주권 제시 등의 방법으로 주식 취득 사실을 증명하여 회사에 단독으로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12회 하이라이트

 

[4] 갑이 을 주식회사를 상대로 자신이 주주명부상 주식의 소유자인데 위조된 주식매매계약서에 의해 타인 앞으로 명의개서가 되었다며 주주권 확인을 구한 사안에서, 갑이 을 회사를 상대로 직접 자신이 주주임을 증명하여 명의개서절차의 이행을 구할 수 있으므로, 갑이 을 회사를 상대로 주주권 확인을 구하는 것은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한 사례

10회 하이라이트

 

판결요지

[1] 주주명부상의 주주가 아닌 제3자가 주식을 인수하고 그 대금을 납입한 경우 그 제3자를 실질상의 주주로 보기 위해서는 단순히 제3자가 주식인수대금을 납입하였다는 사정만으로는 부족하고 제3자와 주주명부상 주주 사이의 내부관계, 주식 인수와 주주명부 등재에 관한 경위 및 목적, 주주명부 등재 후 주주로서의 권리행사 내용 등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한다.

18회 하이라이트

 

[2] 확인의 소는 법적 지위의 불안·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확인판결을 받는 것이 가장 유효·적절한 수단인 경우에 인정되고, 이행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확인의 소를 제기하는 것은 분쟁의 종국적인 해결방법이 아니어서 확인의 이익이 없다. 또한 확인의 소에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는 직권조사사항이므로 당사자의 주장 여부에 관계없이 법원이 직권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3] 주식을 취득한 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점유하고 있는 주권의 제시 등의 방법으로 자신이 주식을 취득한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회사에 대하여 단독으로 그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다.

10회 하이라이트

 

[4] 갑이 을 주식회사를 상대로 자신이 주주명부상 주식의 소유자인데 위조된 주식매매계약서에 의해 타인 앞으로 명의개서가 되었다며 주주권 확인을 구한 사안에서, 갑이 을 회사를 상대로 직접 자신이 주주임을 증명하여 명의개서절차의 이행을 구할 수 있으므로, 갑이 을 회사를 상대로 주주권 확인을 구하는 것은 갑의 권리 또는 법률상 지위에 현존하는 불안·위험을 제거하는 유효·적절한 수단이 아니거나 분쟁의 종국적 해결방법이 아니어서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한 사례.

22회 하이라이트

 

사 건

2016다240338 주주권확인 

원고, 상고인

원고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테바건설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2016. 7. 8. 선고 2016나2012081 판결

판결선고

2019. 5. 16.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1. 원고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본다.

주주명부상의 주주가 아닌 제3자가 주식을 인수하고 그 대금을 납입한 경우 그 제3자를 실질상의 주주로 보기 위해서는 단순히 제3자가 주식인수대금을 납입하였다는 사정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제3자와 주주명부상의 주주 사이의 내부관계, 주식 인수와 주주명부 등재에 관한 경위 및 목적, 주주명부 등재 후 주주로서의 권리행사 내용 등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한다(대법원 2010. 3. 11. 선고 2007다51505 판결대법원 2014. 2. 13. 선고 2012다29441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의 소유자임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앞에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사실오인 또는 채증법칙 위반 등의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직권으로 이 사건 소의 적법 여부에 관하여 본다.

가. 확인의 소는 법적 지위의 불안·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확인판결을 받는 것이 가장 유효·적절한 수단인 경우에 인정되고, 이행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확인의 소를 제기하는 것은 분쟁의 종국적인 해결 방법이 아니어서 확인의 이익이 없다(대법원 2006. 3. 9. 선고 2005다60239 판결대법원 2017. 1. 12. 선고 2016다241249 판결 등 참조). 또한 확인의 소에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는 직권조 사사항이므로 당사자의 주장 여부에 관계없이 법원이 직권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1991. 7. 12. 선고 91다12905 판결 참조).

한편, 주식을 취득한 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점유하고 있는 주권의 제시 등의 방법으로 자신이 주식을 취득한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회사에 대하여 단독으로 그 명의 개서를 청구할 수 있다(대법원 1995. 3. 24. 선고 94다47728 판결대법원 2018. 10. 21. 선고 2016다42800, 42817, 42824, 42831 판결 등 참조).

나.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원래 피고의 주주명부상 이 사건 주식의 소유자로 기재되어 있었는데 소외인이 위조한 주식매매계약서로 인해 타인 앞으로 명의개서가 되었으므로 여전히 원고가 피고의 주주라고 주장하면서, 이 사건 소를 통해 피고를 상대로 주주권 확인을 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 이러한 사정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고는 이 사건 주식의 발행인인 피고를 상대로 직접 자신이 주주임을 증명하여 명의개서절차의 이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원고가 피고를 상대로 주주권 확인을 구하는 것은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의 지위에 현존하는 불안·위험을 제거하는 유효·적절한 수단이 아니거나, 분쟁의 종국적 해결방법이 아니어서 확인의 이익이 없다.

그럼에도 원심은 피고를 상대로 주주권 확인을 구하는 원고의 이 사건 소에 확인의 이익이 있음을 전제로,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의 소유자임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제1심판결에 대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함으로써 본안에 관하여 나아가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원심판단에는 회사에 대한 주주권 확인의 소의 이익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되, 이 사건은 이 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민사소송법 제437조에 따라 자판하기로 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하며, 소송총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김선수 
 
대법관 
권순일 
주심 
대법관 
이기택 
 
대법관 
박정화 

  1. No Image notice by 이변

    참고문헌 목록

  2. No Image 01Feb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대표가 그 권한을 남용한 경우 2005다3649

  3. No Image 31Jan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연합철강 자회사 회계장부열람청구 사건 99다58051

  4. No Image 10Jan
    by 이변
    in 회사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8조(공매도의 제한)

  5. 02Jan
    by 헤아림매니저
    in 최신판례

    [대법원 판례속보] 대법원 2023. 12. 28. 선고 중요 판결 요지

  6. No Image 12Dec
    by 이변
    in 특별 | 행정 | 노동

    국세기본법 제14조 제2항 실질과세원칙 적용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3. 11. 30. 선고 중요 판결]

  7. 06Nov
    by 헤아림매니저
    in 최신판례

    [대법원 판례속보] 대법원 2023. 11. 2. 선고 중요 판결 요지

  8. No Image 01Nov
    by 이변
    in 채무자회생법

    추후보완신고 누락과 채권의 실권

  9. 24Oct
    by 헤아림매니저
    in 최신판례

    [대법원 판례속보] 향교 부지가 국유재산이라는 이유로 변상금을 부과한 처분의 취소를 구한 사건[대법원 2023. 10. 18. 선고 중요 판결]

  10. 12Oct
    by 헤아림매니저
    in 최신판례

    [대법원 판례속보] 2023. 10. 10. 각급법원(제1,2심) 판결공보 요약본

  11. No Image 04Oct
    by 이변
    in 채무자회생법

    판례 | 2017마5292

  12. 25Sep
    by 헤아림매니저
    in 최신판례

    [대법원 판례속보] 대법원 2023. 9. 21. 선고 중요 판결 요지

  13. No Image 07Aug
    by 이변
    in 경매 | 등기

    임대인이 묵시적으로 계약이 연장되었으므로 추가 계약기간이 10년이라고 주장합니다.

  14. 24May
    by 헤아림매니저
    in 최신판례

    [대법원 판례속보] 2023. 5. 15. 판례공보 요약본

  15. No Image 17May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주식회사의 이사가 부담하는 대표이사와 다른 이사들의 업무집행을 감시·감독할 의무의 내용은? 2017다244115

  16. No Image 27Apr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영업양수인의 영업양도인에 대한 경업금지청구 2021다227629

  17. No Image 07Apr
    by 이변
    in 경매 | 등기

    판례 | 경매개시결정이 있기 전부터 유치권을 이유로 부동산을 점유하면서 채무자와 일정 기간 동안 변제기를 유예하기로 합의한 사례 2021다253710

  18. No Image 28Feb
    by 헤아림매니저
    in 회사법

    질의 | 스톡옵션 계약서 우선매수권자에 관한 사항

  19. No Image 21Feb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대표이사가 이사회의 결의 없이 한 계약의 효력 2007다23807

  20. No Image 01Feb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기명주식을 양도받은 자의 지위 90다6774

  21. 18Mar
    by 헤아림매니저
    in 최신판례

    [대법원 판례속보] 2024. 3. 15. 판례공보 요약본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1 Next
/ 31

헤아림 연락처

대표02-523-0252

매니저02-6954-0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