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공감로

법으로 가는 쉽고 빠른 길

판례 | 연장근로 거부가 쟁의행위의 해당하는지 여부 95도29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출처url https://casenote.kr/대법원/95도2970

대법원 1996. 2. 27. 선고 95도2970 판결 [업무방해·노동쟁의조정법위반] [공1996.4.15.(8),1184]

판시사항

[1] 근로자들을 선동하여 통상적인 연장근로를 집단적으로 거부함으로써 회사업무의 정상운영을 방해한 것이 쟁의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형사상 책임이 면제되는 쟁의행위의 정당성 요건

판결요지

[1] 연장근로가 당사자의 합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근로자들을 선동하여 근로자들이 통상적으로 해 오던 연장근로를 집단적으로 거부하도록 함으로써 회사업무의 정상운영을 방해하였다면 이는 쟁의행위로 보아야 한다.

[2] 쟁의행위는 근로자가 소극적으로 노무제공을 거부하거나 정지하는 행위만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그 주장을 관철하기 위하여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까지 포함하는 것이므로, 쟁의행위의 본질상 사용자의 정상업무가 저해되는 경우가 있음은 부득이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수인할 의무가 있으나, 이러한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정당성의 한계를 벗어날 때에는 근로자는 업무방해죄 등 형사상 책임을 면할 수 없는바, 형사상 책임이 면제되는 정당성의 요건은 쟁의행위가 단체교섭과 관련하여 근로조건의 유지,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서 그 목적이 정당하여야 하고, 쟁의행위의 시기와 절차가 법령의 규정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여야 하며, 또 쟁의행위의 방법과 태양이 폭력 또는 파괴행위를 수반하거나 기타 고도의 반사회성을 띤 행위가 아닌 정당한 범위 내의 것이어야 한다.

피고인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원심판결

부산지법 1995. 11. 21. 선고 95노260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본형 형기에서 원심이 산입한 제1심판결 선고 전의 구금일수와 법정통산되는 원심판결 선고 전의 구금일수를 감한 잔여 일수에 해당하는 일수를 본형에 산입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 증거들을 살펴본즉 위 증거들을 들어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각 범죄사실을 인정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또한 연장근로가 당사자의 합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근로자들을 선동하여 근로자들이 통상적으로 해 오던 연장근로를 집단적으로 거부하도록 함으로써 회사업무의 정상운영을 방해하였다면 이는 쟁의행위로 보아야 할 것이고당원 1991. 10. 22. 선고 91도600 판결 참조), 쟁의행위는 근로자가 소극적으로 노무제공을 거부하거나 정지하는 행위만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그 주장을 관철하기 위하여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까지 포함하는 것이므로, 쟁의행위의 본질상 사용자의 정상업무가 저해되는 경우가 있음은 부득이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수인할 의무가 있으나, 이러한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정당성의 한계를 벗어날 때에는 근로자는 업무방해죄 등 형사상 책임을 면할 수 없는바, 형사상 책임이 면제되는 정당성의 요건은 쟁의행위가 단체교섭과 관련하여 근로조건의 유지,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서 그 목적이 정당하여야 하고, 쟁의행위의 시기와 절차가 법령의 규정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여야 하며, 또 쟁의행위의 방법과 태양이 폭력 또는 파괴행위를 수반하거나 기타 고도의 반사회성을 띤 행위가 아닌 정당한 범위 내의 것이어야 한다당원 1992. 9. 22. 선고 92도1855 판결 참조).

그런데 원심이 확정한 사실관계에 의하면 이 사건 쟁의행위는 그 시기와 절차가 법령에 위배될 뿐 아니라, 그 일부는 그 방법과 태양도 정당한 범위를 벗어났으므로 업무방해죄의 형사책임을 면할 수 없다 할 것이다.

한편 이 사건 회사의 단체협약 제59조 제2항에 "노동위원회의 알선, 조정에도 불구하고 타결이 안될 때에는 회사와 조합 중 어느 일방이 노동위원회에 중재를 신청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는바, 그 조항의 개정이 노사 간의 쟁점이 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점만으로 위 조항이나 이를 근거로 한 중재신청을 무효라고 볼 수는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본형 형기에서 원심이 산입한 제1심판결 선고 전의 구금일수와 법정통산되는 원심판결 선고 전의 구금일수를 감한 잔여 일수에 해당하는 일수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김석수 
 
대법관 
정귀호 
주심 
대법관 
이돈희 
 
대법관 
이임수 

  1. 참고문헌 목록

    read more
  2. [기고] 한화종금 가처분 결정한 채동현 판사의 기고문

    Category회사법
    Read More
  3. 판례 | 서울이동통신 신주인수권 사안 2005두14257

    Category회사법
    Read More
  4. 판례 | 은평방송 사건 2004마1022

    Category회사법
    Read More
  5. 판례 | 금복주 주주명부열람 사건 97그7

    Category회사법
    Read More
  6. 판례 | 78다1117

    Category회사법
    Read More
  7. 판례 | 의결권 대리행사에 있어 제한 여부 사례 2001다12973

    Category회사법
    Read More
  8. 판례 | 비자금 조성 목적 이사회 결의 행위 사례 2007다25865

    Category회사법
    Read More
  9. 판례 | 시세조종행위에 대한 배상책임이 부인된 사례 2005나99154

    Category회사법
    Read More
  10. 판례 | 소멸시효 2004다63354

    Category회사법
    Read More
  11. 판례 | 매수인이 하자를 알 수 있었던 사례 2018가단5032800 | 원고 패 | A

    Category민사법
    Read More
  12. 양식 | 코스닥상장법인 표준이사회규정[2016.12.29 개정]

    Read More
  13. 판례 | 감사임용계약의 청약을 하면서 부가한 조건의 내용 자체가 무효인 사례 2005마541

    Category회사법
    Read More
  14. 판례 | 이사의 임기를 정하지 않은 경우 사례 2001다23928

    Category회사법
    Read More
  15. 판례 | 구분선임 여부의 결정 권한 사례 2006카합242

    Category회사법
    Read More
  16. 판례 | 경영판단의 법칙과 그 한계 99가합13533

    Category회사법
    Read More
  17. 판례 | 담보가등기에 따른 본등기를 청구할 수 없는 사례 2017다232167

    Category경매 | 등기
    Read More
  18. 판례 | 주택에 실제 거주하려고 한다는 사유를 들어 임차인의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는지 2021다266631

    Category경매 | 등기
    Read More
  19. 개요 | 공유지분매각의 문제

    Category경매 | 등기
    Read More
  20. 판례 | 회사의 채권자가 직접 주식회사 계약의 무효 확인을 구할 이익이 있는지 2018다228462

    Category회사법
    Read More
  21. 판례 | 회사에 대하여 회사 설립 전에 개인이 부담한 채무의 이행을 청구하는 것도 가능한 경우는? 2019다293449

    Category회사법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1 Next
/ 31

헤아림 연락처

대표02-523-0252

매니저02-6954-0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