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공감로

법으로 가는 쉽고 빠른 길

회사법

판례 |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이사회의 권한 2000라7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서울고등법원 2000. 5. 9.자 2000라77 결정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에 있어서 정관의 규정에 따른 이사회의 결정권한을 다룬 사건

제1심 법원의 판단

주주이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그 발행할 수 있는 사채의 액, 신주인수권의 내용과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에 관하여 정관에서 구체적으로 정 하지 않은 한 그 정관은 무효이고 결국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거쳤어야 한다고 주장하나, 제3채무자 회사의 정관(제18조)을 살펴보면 위 정관은 상법 제516조의2 제4항에 따른 주주총 회 특별결의를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액, 신주인수권의 내용과 행사 기간에 관하여 구체적인 규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위 규정은 상장회사 표준정관에 따 른 것이다), 이에 기하여 실제로 발행할 신주인수권부사채의 구체적인 내용은 그 발행시마다 정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사회에서 결정하면 된다 할 것이다.

항소심인 위 고등법원은 아래의 사유를 들어 이사회에 대한 권한의 포괄적 위임을 인정하지 아니함

주주 이외의 제3자에 대하여 신주인수권부사채가 발행되면, 그 신주인수권의 내용이 이 사건에서와 같이 피신청인들에게 특히 유리하지 않더라도, 그로 인하여 주주의 재산상 이익 이 침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사의 지배관계에도 변동을 가져을 수 있으므로, 상법은 주주의 재산상 이익을 보호하고 지배관계 변동에 대한 주주의 의사를 묻기 위하여 그 발행할 수 있는 사채의 액, 신주인수권의 내용과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에 관하여 정관 에 규정이 없으면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써 이를 정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제516조의2 제4 항), 위 주주총회 소집통지와 공고에는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에 관한 의안의 요령을 기재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같은 조 제5항, 제513조 제4항). 그러므로, 주주총회의 특별결의 를 거치지 아니한 이 사건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이 적법하려면 제3채무자 회사의 정관에 그 발행할 수 있는 사채의 액, 신주인수권의 내용,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에 관한 규정이 있어야 할 것이다.

제3채무자 회사 정관 제18조는 신주인수권부사채발행에 관하여 규정하면서, 그 제1호에서 주주외의 자에 대하여 발행할 수 있는 사채의 권면가액을 금 2,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이내라고 정하고 있고, 제4호에서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을 당해 사채의 발행일 익일부 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하되, 다만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써 그 기간을 조정 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으므로, 상법 제516조의2 제4항 소정의 '발행할 수 있는 신주인수권 부사채의 액과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에 관하여는 위 정관에 규정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위 정관에 상법 제516조의2 제4항 소정의 신주인수권의 내용에 관한 규정이 있는 지 여부에 관하여 보건대, 위 정관 제18조 제2호는 신주인수를 청구할 수 있는 금액에 관하 여는 사채의 액면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사회가 정하도록 규정하고, 같은 조 제3호는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발행하는 주식의 가액에 관하여는 액면금액 또는 그 이상의 가액으로 사채 발행시 이사회가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신주인수를 청구할 수 있는 금액 (행사비율)이나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발행하는 주식의 가액(행사가격)은 신주인수권의 내용이 어떠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본질적인 요소로서 주주의 이익이나 회사의 지배권의 변동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므로 그 내용이 구체적이고 확정적으로 정관에 규정되어 있을 때에 환하여 주주충회의 특별결의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해석하는 것이 상법 제516조의2 제4항의 올바른 해석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신주인수권의 내용을 구체적이고 확정적으로 정하지 아니한 채 이사회가 결정하도록 포괄적으로 위임한 제3채무자 회사의 위 정관규정은 주주의 재산상 이익을 보호하고 지배관계 변동에 대한 주주의 의사를 묻기 위한 강행규정인 위 상법 제516조의2 제4항에 반한 것으로서 효력이 없다고 할 것이다.

 


  1. No Image notice by 이변

    참고문헌 목록

  2. No Image 10Apr
    by 이변
    in 경매 | 등기

    개요 | 부동산취득의 법률적 제한

  3. No Image 07Apr
    by 이변
    in 경매 | 등기

    판례 | 채권자의 담보권 포기 행위가 불법행위에 해당할 수 있는 경우 2017다261882

  4. No Image 27Feb
    by 헤아림
    in 회사법

    판례 | 경영판단과 업무상 배임 사례 2002도4229 | 무죄

  5. No Image 27Feb
    by 헤아림
    in 회사법

    판례 | 이사의 임기를 정하지 않은 경우 사례 2001다23928

  6. No Image 24Feb
    by 이변
    in 민사법

    판례 | 불법건축물 매매 사례 2019가합104696 | 원고패 | A

  7. No Image 24Feb
    by 이변
    in 민사법

    판례 | 무단 증축 건물에 대한 매도 사례 2018가단5271407 | 원고 패 | A

  8. No Image 23Feb
    by 이변
    in 민사법

    판례 | 하자담보책임 면제의 약정 인정 사례 2019가합10311 | 원고 패 | A

  9. No Image 22Feb
    by 이변
    in 민사법

    판례 | 매수인이 하자를 알 수 있었던 사례 2018가단5032800 | 원고 패 | A

  10. No Image 01Feb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주식양도약정이 해제된 경우 의결권 행사 2000다69927

  11. No Image 01Feb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실질주주의 열람등사청구 사례 2015다235841

  12. No Image 20Jan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대표소송 변호사보수 사건 2007가합43745

  13. No Image 18Jan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삼성에스디에스 사건 2001두6364

  14. No Image 06Jul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이사 제기 주총결의취소의 소와 이사의 사망 2015다255258

  15. No Image 12May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자기주식취득의 요건은? 2020다208058

  16. No Image 04May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신용공여 금지 규정 위반의 효력은? 2017다261943

  17. 25Apr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합병 반대 주식 매수 시 매수가격을 산정하는 방법 2016마5394

  18. No Image 25Apr
    by 이변
    in 회사법

    판례 | 회계장부 열람의 이유기재요건 2019다270163

  19. No Image 18Apr
    by 이변
    in 경매 | 등기

    개요 | 부동산인도명령

  20. No Image 07Apr
    by 이변
    in 경매 | 등기

    판례 | 담보가등기에 따른 본등기를 청구할 수 없는 사례 2017다232167

  21. No Image 29Mar
    by 이변
    in 경매 | 등기

    판례 | 서울고등법원 2008. 6. 25. 선고 2008나42036 판결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1 Next
/ 21

헤아림 연락처

대표02-523-0252

매니저02-6954-0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