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공감로

법으로 가는 쉽고 빠른 길

회사법

판례 | 금복주 주주명부열람 사건 97그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출처url https://casenote.kr/대법원/97그7

대법원 1997. 3. 19.자 97그7 결정 [강제집행정지] [집45(2)민,57;공1997.5.1.(33),1167]

판시사항

[1] 가처분 판결에 기한 집행을 예외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경우

[2] 회사가 주주 또는 회사채권자의 주주명부 열람등사청구를 거부하기 위한 요건 

결정요지

[1] 가처분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 또는 가처분 판결에 대한 상소의 제기가 있고, 장차 그 가처분 재판이 취소 또는 변경되어질 가능성이 예견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원칙적으로 그 집행의 정지는 허용될 수 없으나, 구체적인 가처분의 내용이 권리보전의 범위에 그치지 아니하고 소송물인 권리 또는 법률관계의 내용이 이행된 것과 같은 종국적 만족을 얻게 하는 것으로서, 그 집행에 의하여 채무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예외적으로 민사소송법 제474조, 제473조를 유추적용하여 채무자를 위하여 일시적인 응급조치로서 그 집행을 정지할 수 있다(채권자들에게 회계장부 등의 열람·등사를 허용하는 것이 본안의 소송물인 열람등사청구권이 이행된 것과 같은 종국적 만족을 얻게 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서 채무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고 본 사례).

[2] 상법 제396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주 또는 회사채권자의 주주명부 등에 대한 열람등사청구는 회사가 그 청구의 목적이 정당하지 아니함을 주장·입증하는 경우에는 이를 거부할 수 있다.

특별항고인

주식회사 금복주 외 3인 (특별항고인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후 외 3인) 

원심결정

서울지법 남부지원 1997. 1. 29.자 97카기131 결정

주문

특별항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특별항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가처분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 또는 가처분 판결에 대한 상소의 제기가 있고, 장차 그 가처분 재판이 취소 또는 변경되어질 가능성이 예견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원칙적으로 그 집행의 정지는 허용될 수 없으나, 구체적인 가처분의 내용이 권리보전의 범위에 그치지 아니하고 소송물인 권리 또는 법률관계의 내용이 이행된 것과 같은 종국적 만족을 얻게 하는 것으로서, 그 집행에 의하여 채무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예외적으로 민사소송법 제474조, 제473조를 유추적용하여 채무자를 위하여 일시적인 응급조치로서 그 집행을 정지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고 함이 이 법원의 견해이다( 대법원 1995. 3. 6.자 95그2 결정1996. 4. 24.자 96그5 결정 등 참조).

그런데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96카합4181호 회계장부및서류등의열람등사가처분 결정은 채무자에게 특별항고인(채권자)들이 회계장부 등의 열람·등사를 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명하는 내용인바, 이는 본안의 소송물인 열람등사청구권이 이행된 것과 같은 종국적 만족을 얻게 하는 것으로서, 그 집행에 의하여 채무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음이 그 내용 자체로 보아 명백하다.

그리고 상법 제396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주 또는 회사채권자의 주주명부 등에 대한 열람등사청구도 회사가 그 청구의 목적이 정당하지 아니함을 주장·입증하는 경우에는 이를 거부할 수 있다 고 할 것이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채무자가 위 가처분 결정에 대한 이의의 이유로 주장한 사실이 법률상 이유 있다고 인정되고 그 사실에 대한 소명이 충분하며, 또한 그 집행에 의하여 보상할 수 없는 손해가 있는 것도 소명된 것으로 보아 담보 없이 위 가처분 결정에 대한 이의사건의 제1심 판결 선고시까지 위 가처분 결정정본에 기한 집행의 정지를 명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거기에 특별항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채증법칙 위배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특별항고인들이 들고 있는 대법원 1990. 9. 21.자 90그33 결정은 이 사건과는 사안을 달리하는 것이어서 이 사건의 적절한 선례가 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특별항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재판장 
대법관 
박만호 
 
대법관 
박준서 
주심 
대법관 
김형선 
 
대법관 
이용훈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참고문헌 목록
회사법 판례 | 대표소송에서 청구내용의 구체성이 다소간 완화될 수 있는지? 2019다291399
회사법 판례 | 대표소송 변호사보수 사건 2007가합43745
회사법 판례 | 대표권의 남용 행위의 유효 사례 97다18059
회사법 판례 | 대표가 그 권한을 남용한 경우 2005다3649
회사법 판례 | 대출 추인 이사회 결의에 대한 이사의 책임 사례 2005다56995
회사법 판례 | 대주주 대여금 명목 주식매수대금 대여 배임 사례 2006도483
회사법 판례 | 대림정보통신 사건 2004두7153
회사법 판례 | 내용증명으로 하는 해지 통지의 효과 2000다20052
회사법 판례 | 기업인수가 배임죄에 해당하는 사례 2007도5987
회사법 판례 | 기명주식을 양도받은 자의 지위 90다6774
회사법 판례 | 금융기관의 이사의 프로젝트 파이낸스 대출에 대한 경영판단 2018다275888
회사법 판례 | 금융기관의 대출행위가 배임이 되는 사례 2003도3516
회사법 판례 | 금복주 주주명부열람 사건 97그7
회사법 판례 | 근로자에 대한 사용자로서의 모든 권리의무를 이전받은 경우 기 발생 손해배상에 대한 책임은? 2020다245958
회사법 판례 | 규정 외 전환권 약정을 한 사례 2005다73020
회사법 판례 |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주주만 신회사(클린회사)의 주식을 취득한 사례 2005나107819
회사법 판례 | 구분선임 여부의 결정 권한 사례 2006카합242
회사법 판례 | 계열회사 자금대여 사례 2004도4234
회사법 판례 | 계열회사 자금 대여 사안 2004도5167
회사법 판례 | 계열사 부당지원 사례 2007노586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

헤아림 연락처

대표02-523-0252

매니저02-6954-0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