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공감로

법으로 가는 쉽고 빠른 길

민사법

판례 | 법인에서 하자의 인식 기준이 되는 자 2006다797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출처url https://casenote.kr/대법원/2006다79742

대법원 2007. 3. 29. 선고 2006다79742 판결 [손해배상(기)]

판시사항

매도인인 주식회사가 매매목적물에 존재하는 하자를 고지하지 아니하여 채무불이행책임의 존부가 문제되는 경우, 위 주식회사의 하자 인식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대표이사의 인식)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충정 담당변호사 장용국외 1인)  

피고, 피상고인

피고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천지인 담당변호사 유철균)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10. 26. 선고 2005나7451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2점, 제3점에 관하여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이 사건 매매계약이 하자의 발생시로부터 10년 이상의 장기간이 경과된 이후에 체결된 점, 신임 대표이사인 소외 1이 피고 회사의 경영권을 인수한 지 한 달 보름 만에 이 사건 매매계약을 체결하여 매매목적물의 현황을 파악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었던 점, 신축 당시에 3층 출입구가 허가받은 설계도면과 달리 시공된 것은 숨은 하자로서 쉽게 발견하기 어려운 성질의 것이라는 점, 이 사건 매매계약 당시 시가보다 매매대금을 저렴한 가격으로 책정하는 대신 하자에 대한 면책약정을 부수적으로 체결한 점 등 제반 사정을 종합하여 새롭게 경영권을 인수한 피고의 경영자들이 이 사건 하자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고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 사건 매매계약상 채무의 불완전이행을 원인으로 하여 손해배상을 구하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귀책사유의 존부를 판단함에 있어 표준으로 삼은 피고 회사의 경영자들에는 피고 회사의 신임 대표이사 소외 1뿐만 아니라 새롭게 전무의 직책이 부여되어 법인등기부상 이사로 등재된 소외 2 및 이 사건 상가의 신축 당시부터 피고 회사에 근무한 소외 3도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보이고, 원심이 위와 같은 제반 사정 등을 참작하여 위 경영자들이 이 사건 하자의 존재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인정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 내지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상고이유 제1점에 관하여

매도인인 주식회사가 매매목적물에 존재하는 하자를 고지하지 아니하여 채무불이행책임의 존부가 문제되는 경우 채무자인 주식회사가 그 하자의 존재를 미리 알았는지 또는 알 수 있었는지에 관하여는 원칙적으로 주식회사를 대외적으로 대표할 권한이 있는 대표이사의 인식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이 신임 대표이사 소외 1을 표준으로 위와 같이 귀책사유의 존부를 판단한 것은 정당할 뿐 아니라, 위 1.에서 본 바와 같이 피고의 피용자 또는 이행보조자라 볼 수 있는 소외 2, 3도 이 사건 하자의 존재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인정하여 피고의 채무불이행책임을 물리쳤는바, 원심의 그와 같은 판단에 법인인 채무자의 귀책사유의 판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다거나 심리를 다하지 못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상고이유 제4점, 제5점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가 원고에게 사우나 영업에 다소 지장을 줄 정도의 하자가 존재하는 사정을 고지하지 아니한 채 이 사건 상가를 매도한 것이 불법행위에 해당됨을 이유로 하여 손해배상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와 관련하여, 원심이 피고 회사의 신임 대표이사를 비롯한 경영자들이 이 사건 하자의 존재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귀책사유에 관한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였다거나 법인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귀책사유를 판단함에 있어 그 표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재판장 
대법관 
안대희 
 
대법관 
김영란 
주심 
대법관 
김황식 
 
대법관 
이홍훈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참고문헌 목록
회사법 정책 |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 도입방안 마련
회사법 질의 | 스톡옵션 부여 시 정관에 정해진 행사기간 보다 긴 기간을 행사한다고 명시한 경우
회사법 규정 | 이사의 책임을 규정한 상법 제399조 등
민사법 소멸시효
회사법 판례 | 이사의 임기를 정하지 않은 경우 사례 2001다23928
민사법 다가구주택 임대차계약을 중개한 공인중개사의 주의의무 이행 여부가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3. 11. 30. 선고 중요 판결]
회사법 영상 | 계약으로 스톡옵션 행사기간을 제한한 경우
회사법 판례 | 수혜법인의 지배주주 등에게 증여세 부과 사례 2020두52214
민사법 판례 | 2020가단5313298
경매 | 등기 임대인이 묵시적으로 계약이 연장되었으므로 추가 계약기간이 10년이라고 주장합니다.
채무자회생법 추후보완신고 누락과 채권의 실권
회사법 판례 | 우회적인 법인격 남용 2017다271643
경매 | 등기 상가임대차보호법 | 환산보증금이 넘는 상가임대차에 대한 확정일자가 필요한지.
채무자회생법 판례 | 2017마5292
민사법 판례 | 조건 성취 가능성 자체가 현저히 낮았던 사례 2022다266645
회사법 판례 | 이사회 종료 후 일부 이사들의 결의 사례 99가합1197
회사법 판례 | 주주제안권을 거부한 이사회의 정당성 여부 2007카합215
채무자회생법 부인권행사시 추정되는 현존이익 2022다211928
회사법 판례 | 우선주주에게 불이익하게 변경되는 정관 사례 2004다44575
회사법 판례 | 자신이 임기가 만료된 때부터 약 2년 4개월 동안 이사의 지위에 있었음에 대한 확인을 구한 사안 2022다20796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

헤아림 연락처

대표02-523-0252

매니저02-6954-0773